✅ 청년미래적금이란?
청년미래적금은 정부에서 새롭게 내놓은 정책으로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해 만든 상품입니다.
이는 기존의 청년도약계좌가 2025년 12월부로 종료되면서, 기존 상품이 갖고 있던 긴 만기 기간 등을 줄여서 혜택을 보다 강화한 상품입니다.
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청년미래적금의 조건과 가입 및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📝 누가 가입할 수 있나요?
1. 나이 요건: 만 19세 ~ 34세 (군 복무자는 최대 6년까지 인정)
2. 소득 요건:
개인소득: 연 6000만원 이하 근로 및 사업 소득자
사업소득: 종합소득금액 4800만원 이하
자영업자/소상공인: 연매출 3억원 이하
가구소득: 중위소득 200% 이하
📌 납입조건
1. 월 최대 50만원 한도
2. 자유롭게 납입가능 (월마다 금액 조정 가능)
3. 만기기간: 최소 1년, 최대 3년
💰 어떤 혜택이 있나요?
청년미래적금은 은행금리, 비과세혜택과 함께 정부의 매칭금라는 큰 혜택을 갖고 있습니다.
매월 50만원, 3년 만기를 모두 채우면 일반형은 2080만원, 우대형은 2200만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1. 일반형: 납입금의 6%를 정부가 지원
2. 우대형: 중소기업 취업 후 6개월 이내 청년에게는 12% 매칭
연이율로 따지면 일반형의 경우는 12%, 우대형의 경우는 16.9%로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적금입니다.
🏦 청년도약계좌에서 갈아탈 수 있나요?
청년도약계좌에서 청년미래적금으로 변경 가능합니다. 다만, 1인이 두 상품을 동시 가입은 불가합니다.
따라서 대부분 청년미래적금으로 변경할 것으로 보여집니다.
원래는 청년도약계좌는 중도 해제 시 정부기여금과 비과세를 못받게 되어 있지만, 도약계좌 해제 후 청년미래적금으로 신규가입 시에는 이와 같은 패널티는 없을 예정입니다.
아직 청년미래적금은 출시 전이므로 청년도약계좌를 해제하지 않고 출시 확인 후 세부 내용 확인 후 변경 진행하시길 바랍니다.
✨ 가입은 언제 가능한가요?
청년미래적금 제도는 아직 시행 전입니다. 2025년 하반기 시범 운영 후 2026년 초 정식 출시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.
따라서 추후 발표되는 세부안을 정리하고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